아기 이앓이, 밤마다 우는 우리 아이...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엄마 아빠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게 되는 아기 이앓이. 갑자기 울음을 터뜨리고, 손을 입에 넣고, 이유 없이 보채는 아이를 보면 부모는 속수무책으로 마음이 아프기만 합니다. 언제 시작되고, 얼마나 가며,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?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기 이앓이 시기별 특징과 현명하게 대처하는 실전 팁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목차
- 이앓이 시기는 언제부터 언제까지?
- 이앓이 증상 어떻게 나타날까?
- 이앓이 통증 완화하는 현실적인 방법
- 이앓이 시 엄마가 해줘야 할 5가지
- 실전 스케줄: 하루 루틴으로 보는 이앓이 대처법
- 마무리: 이앓이는 성장의 한 과정이라는 걸 기억하세요
1. 이앓이 시기,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날까?
보통 생후 4~7개월 사이에 첫 이가 올라오기 시작하며, 만 2~3세까지 유치가 모두 자라납니다. 이 시기 동안 아이는 여러 차례 이앓이를 겪게 됩니다.
- 4~7개월: 아래 앞니(중절치)부터 시작
- 8~12개월: 위 앞니 등장
- 12~16개월: 송곳니와 어금니
- 20~30개월: 마지막 어금니까지 자람
이 시기에는 하루 종일 보채거나 밤중 수유가 늘고, 평소보다 안기려는 행동이 많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.
2. 이앓이 증상, 이렇게 나타나요
아기마다 다르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공통된 이앓이 증상이 나타납니다.
- 침을 많이 흘린다
- 손이나 물건을 입에 넣고 문다
- 이유 없이 짜증을 내거나 잘 운다
- 열이 살짝 있다 (보통 37.5~38도 이하의 미열)
- 밤중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자주 깬다
주의! 고열이나 설사가 동반되면 단순한 이앓이 외의 질환일 수 있으니 소아과 진료를 꼭 받으세요.
설사만 하는 경우 - 입에 침이 많이 생기고 손이나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서 세균에 의한 약한 설사증상일 수 있어요.
3. 이앓이 통증 완화,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
아이의 통증을 덜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입니다. 아래 방법들을 활용해보세요.
- 치발기 사용하기 – 냉장 보관 후 주면 통증 완화 효과
- 차가운 수건이나 거즈를 손에 쥐어주기
- 맥시부펜이나 타이레놀 사용 (9kg 이상 시, 의사 처방 필수)
- 손 마사지 – 잇몸 부위를 살살 눌러주기. 잇몸이 부어있기 때문에 가볍게 터치하는 느낌으로 눌러주세요.
- 이앓이캔디 - 시중에 나와있는 이앓이캔디를 소량씩 혀 밑으로 넣어 복용시키기. (개인적으로 사용한 제품추천 - 오사닛캔디, 메리마더 이앓이캔디)
- 분유를 얼음틀에 얼려서 과즙망에 넣어 제공 - 이앓이 때문에 분유거부가 심한 아기에게 효과가 있어요.
4. 이앓이 시기, 부모가 꼭 해줘야 할 5가지
- 아이의 잇몸을 매일 관찰하세요 – 부풀어 오르는 잇몸 확인
- 이유식은 부드럽고 차갑게 주세요 – 통증 있는 잇몸에 자극 줄이기
- 밤잠 루틴을 일정하게 유지하세요 – 수면환경이 안정감 줌
- 보채는 시간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마세요
- 아이의 입 주변을 자주 닦아주기 – 침으로 인한 피부염 예방
TIP: 통증이 심할 땐, 아이가 차가운 물이나 젖병을 거부할 수 있어요. 젖병 젖꼭지나 컵의 재질을 바꾸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.
5. 실전 스케줄 예시 – 이앓이 기간 하루 루틴
시간 | 활동 | 이앓이 대응 |
---|---|---|
07:00 | 기상 & 수유 | 젖병 온도 확인, 젖꼭지 재질 체크 |
09:30 | 놀이 시간 | 차가운 치발기 제공 |
12:00 | 이유식 | 미지근하거나 차가운 퓨레 형태 제공 |
15:00 | 낮잠 후 산책 | 햇볕과 바람으로 기분전환 |
20:00 | 밤잠 준비 | 수면 전 부드러운 마사지 & 진통제(필요시) |
6. 마무리: 이앓이는 지나가는 과정이에요
이앓이 시기는 아이의 성장의 징표입니다. 아이마다 빠르게 지나갈 수도, 더디게 지나갈 수도 있어요.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마음이 조급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. 아이가 힘들어할수록 더 많은 사랑과 품이 필요합니다.
이 포스팅이 아기의 이앓이 시기를 현명하게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같은 고민을 하는 다른 부모님들에게도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!
'육아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후 골반, 내버려두면 평생 간다? 관리하는 방법 (11) | 2025.06.18 |
---|---|
생후 7~8개월 아기 이유식 레시피 (3) | 2025.06.17 |
50일아기 분유거부 극복하기! (0) | 2024.11.28 |
신생아 중이염 증상과 치료법 ~꼭 관찰하세요 (1) | 2024.11.14 |
생후0개월~1개월 아기의 발달특성과 주의점 (3) | 2024.11.13 |